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눅스 마스터 2급 기출

2019 - 03

uid 3, gid 2, sticky bit 1

디스크 쿼터 : 사용자가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 제한

켄그리어 테넥스 : tcsh

top : 프로세스 상태 확인( 디스크 사용률) 

killall -9 -u ihduser

synaptic : APT 패키지 관리 시스템

rpm -F :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만 찾아서 업데이트

리눅스 커널 요소 : ALSA

lpr -# 3 -P lp ihd.txt : lp라는 이름을 가진 프린터로 3장 출력

system-config-printer

konqueror : KDE기반

/etc/sysconfig.network : 네트워크 사용유무 지정, 호스트명 설정, 게이트웨이 주소 설정, NIS 도메인명 기록


19-06

du : 디렉토리에 대한 디스크 사용량 

df : 시스템 전체 디스크 사용량 

일반 사용자-cron 작업 파일 저장 디렉토리  : /var/spool/cron

루프백 127.0.0.1

리졸브 - 서버

채널본딩 : 병렬

virtualbox : 전가상화 , GNL GPL, VHD

 

19-09

set-bit 설정 파일 : usr/bin/passwd 

umask 값 확인  : umask -S

1. 장치명 2. 디렉터리 3. fs 유형 4. 옵션

로그인 쉘 변경시 수정 파일 : /etc/passwd

시그널 이름과 번호 확인 : kill -l

kill -9 3878

exex : 덮어버림

질의를 위한 치환 기능 : emacs P 한줄 위/ F 오른쪽 /N 한줄아래

파일추가 rvf

내용만 확인 tvf

CIFS :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 컴퓨터상의 파일이나 서비스를 요청하는 표준 프로토콜로 tcp/ip 프로토콜 기반으로 사용


19-12

quotacher -> edquota -> quotaon

drwxrwx--T

chmod o+t / project

 

디렉터리 : r w - 파일 생성 및 삭제 권한 x - 내부 접근 권한

그냥 파일은 수정 및 실행

 

fdisk 결과 - 파티션 확인/편집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ls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권 확인 

 

사용 가능한 셸의 목록 : cat/etc/shells

 

bourne -> C -> K -> bash 

개발 순서 

 

ps ( process status) aux

CPU 사용시간, PID( 프로세스 식별 번호 ), STAT 프로세스 상태코드

 

jobs + 현재 작업 중 - 작업 대기 중

 

MySQL cmake 설치 프로그램으로 대체

 

J : xz

-x : tar 파일을 푼다

-v : 실행 대상의 파일 내용 보여줌

-f : 작업 대상이 되는 tar 파일의 이름을 지정 

 

문자열 서치 yum search

 

NDMP : 백업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네트워크 프린터 설정 프로토콜 : IPP, LPD, HTTPS 

 

X.org : 프로젝트 ..

 

POP3, IMAP : 컴퓨터에서 메일 확인

 

/etc/sysconfig/network
네트워크사용유무지정, 호스트명설정, 게이트웨이주소설정, 게이트웨이장치파일설정,
도메인이름등이기록되는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

/etc/hosts :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매핑
/etc/resolv.conf : DNS 서버를 지정

 


2020-06

/etc/sysconfig/network 

: 게이트웨이주소, 호스트네임 설정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 관련파일 

 

/etc/resolv.conf 

: 네임서버 저장 파일 DNS 설정 

 

ESTABLISHED 정보 확인 명령 조합 

: ss, netstat 

 

ethtool

: Settings for eth1 ~~ TP 

 

ssh -l kait 도메인

-l login_name 서버에 로그인할 사용자를 지정한다. 

-p 접속할 포트 번호 

 

ftp : 21

ftp- data : 20 

http : 80 

 

IEEE : 전기전자공학자, LAN 관련 

ITU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EIA : 케이블

오페라 : 노르웨이 

파이어폭스 : 모질라재단 

MAN : DQDB - 802.2 규격인 QPSX의 제어접속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Xen : 커널이 수정된 게스트 운영체제를 통해 물리적 서버 대비하여 최대 98% 성능을 나타낸다는 CPU 반가상화 지원

HA 클러스터 = 고가용성 클러스터 = 백업

HPC  =베어울프 = 고계산용 

LVS : 부하 분산 클러스터 

라즈베리파이 : 잉글랜드, 교육용, 싱글 보드 컴퓨터

아두이노 : 이탈리아 

마이크로 비트 : BBC, ARM 기반

Cubie Board : 중국


2020 -10 

 

MIT : X.org에 적용

XCB : Xlib을 대체 

xhost : X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지정, 해제 가능/ xhost + ip

 

xauth : .Xauthority 파일 쿠키 내용 추가, 삭제, 리스트를 출력

: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서버에 생성된 키 기반으로 제어함 

:: 맥방식 

:: list $DISPLAY 원격지에서 X 클라이언트 이용 

 

calc : Excel/ 스프레드시트 

Impress : power point

write : word

draw : visio

base : access

eog :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gimp : 이미지 편집기

totem : 사운드 및 비디오 재생 프로그램

ImageMagick : 이미지 포맷 

mii-tool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확인 / 연결된 케이블 상태 확인 

ss : 리눅스의 socket 상태 조회

route : 라우팅 테이블 추가/제거

ifconfig : ip주소, mac주소, uuid 

NFS : 리눅스 파일 공유

SAMBA : 리눅스와 윈도우 파일 공유 SMB => CIFS 

 

/etc/protocols 

: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 목록

 

/etc/services 

: 각 서비스별로 포트 번호 

 

/etc/resolv.comf

: DNS 서버 주소 설정 

 

/etc/sysconfig/network

: 시스템 점검을 위해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 차단할 때 

: hostname 저장, 네트워크 사용 여부 

 

/etc/hosts

: 도메인의 IP 조회

 

/etc/resolv.conf

: 네임서버 설정, 도메인명 설정

: DNS 서버 주소 변경 

 

 

telnet localhost 80

 

netstat -r

: 라우팅테이블 -> 게이트웨이 주소 나옴 

            -n : 도메인 주소를 숫자로 출력

 

 

아이칸 : 인터넷 도메인 관리 

 

SYN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 요청 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SYN/ACK : 서버가 연결 요청을 받은 대답 

ACK : 클라이언트가 서버 요청을 받은 대답

 

Docker :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만 이미지로 만들어서 프로세스처럼 동작시키는 경량화된 가상화 방식

 

SaaS

PaaS

FaaS : 

laaS 

 

Listen : 소켓을 열고 대기

established : 3-way handshaking이 완료된 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

 

192 4개 : 00 01 10 11

128 2개 

네트워크 주소 0

호스트 주소 1~126 

브로드 캐스트 주소 127 OR 255 

 

ssh -l kaituser ihd.or.kr

: 로컬시스템의 계정과 다른 원격지 계정으로 ssh 서버에 접속

-l : 원격 시스템에 사용할 로그인 이름 설정 

-n : ssh가 백그라운드에 실행될 때 사용되는 /dev/nulls로 부터 stdin 재지정

 

 

윈도 매니저 : 배치와 표현 담당 

디스플레이 매니저 : 그래픽 로그인 화면, 인증 진행 


2020-12 

 

/etc/passwd : 필드7(로그인쉘)

사용 가능한 셸 목록 : chsh, cat/etc/shells 

사용자의 로그인 셸이 기록되어 있는 환경 변수 : SHELL

NI 값이 낮을 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SIGHUP = 1 SIGINT = 2 

renice 1 1222

우선순위 높아진 상태를 의미하는 프로세스 상태 코드값 < 

:.,$d : 현재 커서가 있는 줄에서 마지막 줄까지 삭제 

qi 패키지 정보 / ql 파일을 설치한 패키지 위치 출력 /qa 전체 패키지 목록 출력 /qf 파일이 속한 패키지 출력 

 

 tar

 

t : tar 파일 안에 묶여 있는 파일의 목록을 출력한다.

v : 어떤 명령을 실행할 때 대상이 되고 있는 파일들을 보여준다. 

p :파일이 생성 되었을 때 파일의 권한을 그대로 유지하게 해줌

 

print - 631번 포트

LPRing 버클리 프린팅 시스템. BSD계열,최근에는 CUPS 시스템을 추가로 사용 lpadmin

Gwenview : KDE의 기본 이미지 뷰어

Kwin은 KDE에서 사용하는 윈도우 매니저

1. 윈도 매니저 : 배치와 표현을 담당
2. 디스플레이 매니저 : 그래픽 로그인 화면, 인증 진행

xhost  : X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지정하거나 해제 

NIFS - RPC BIND

get,recv : 지정한 파일을 로컬 시스템으로 가져온다.

put, send : 전송한다. 

이더넷 - CSMA/CD 

SSL 세션계층

 

ssh -l kaituser ihd.or.kr : 다른 원격지 계정으로 ssh 서버에 접속 

-l 로그인 이름 설정

 

- LISTEN: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패킷을 위해 소켓을 열고 기다리는 상태
- SYS-SENT: 로컬에서 원격으로 연결요청(SYN 신호를 보냄)을 시도한 상태
- ESTABLISHED: 3-way handshaking이 완료된 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
- SYN_RECEIVED: 원격지로부터 접속을 요구 받아 응답 했지만 아직 클라이언트에게 확인되지 않은 상태

 

/etc/hosts IP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1:1로 등록하여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를 조회하도록 한다.

 

Faas : 기능을 서비스 형태로 등록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실행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종료

Docker : 가상화 레이어 존재하지 않고, 운영체제도 존재 X 


2022-09

데스크톱 환경 :

 그놈(gtk+라이브러리, eog뷰어, totem사운드 Gimp 이미지 편집 Nautilus파일편집기
        mutter3버전 윈도매니저 metacity 2버전윈도매니저 ),

 kde(qt라이브러리, gwenview, kwin윈도매니저 dophin파일관리자),

 lxde,

 xface 

 

CAT-5 100 100 

CAT-5E 100 1 

 

IEEE 802.6 : MAN(DQDB) 

 

전송순서 및 동기점 위치 : 세션계층 

 

KVM : 레드햇, x86 시스템 기반 전가상화 방식 


2022 - 06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 시스템 시작 시 X윈도 모드로 부팅하는 대신에 텍스트 모드로 부팅되도록 설정 명령 

 

Xlib : C언어, X서버와 대화 가능하도록

 

evince : PDF 문서 

Gwenview : KDE용 이미지 뷰어

eog  : 그놈 용 이미지 뷰어 

 

https : 443 

telnet : 원격 터미널 접속 서비스 

LAN : ethernet, token rint, fddi

WAN : ppp, hdlc, 

            x.25, atm, frame-realy

 

ethtool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연결 상태 확인

 

게이트웨이 주소 확인 명령어 : route, netstat -r 

 

/etc/protocols :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etc/services : 모든 프로토콜 포트번호 

 

루프백 : 자기 자신을 검사하는 IP , 127.0.0.1 

 

SNMP 161, 162

IMAP 143

POP3 110

TFTP 69

DHCP 67 68 

 

KVM : x86 , QEMU이라는 Cpu 에뮬레이터 사용


2021 -12

xz J

bz j

gz z  

 

configure : 관련 파일 제거 

make clean : 이전에 컴파일 했던 내용 삭제 

make disclean : automake에서 분류되지 않은 나머지 파일 삭제 

 

a 한 칸 뒤로 넘어가고 편집모드 전환

i 커서의 해당 위치에서 편집모드 전환

o 다음 줄로 넘어가고 편집모드 전환 

 

vi + line text 커서의 위치를 마지막 줄에 위치 

-r 파일복구

$ 커서가 줄 맨 끝 

vi - 앞줄의 첫 문자로 이동 

 

gnu 프로젝트로 만들어진 nano 편집기

 

top 리눅스 시스템의 운영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프로세스 상태 확인

inetd : 요청이 들어왔을 때 관련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 끝나면 자동으로 종료 시킴 

 

renice -10 1222

ctrl + \ : SIGQUIT

ctrl + c : SIGINT 정상 종료

ctrl + z : SIGTSTP 프로세스를 대기로 전환 

 

PRI : 커널에서 참고하여 운영체제가 실제 참고 

NI : 사용자가 변경하는 항목으로 NI 값이 PRI 값에 반영 

 

alias  ~/.bash_profile

 

사용 가능한 셸의 목록 정보 /etc/shells

빌조이 csh

로그인 셸을 변경했을 때 저장되는 파일 : /etc/passwd 

 

이동식 보조기억장치 같은 미디어를 해제하고 장치 제거 : eject 

mount -t xfs /dev/sdb1 /backup

마운트할 파일시스템 유형 선택 

 

chown ihduser.kaitgroup lin.sh

quota ihduser 

: 사용자의 디스크 쿼터 설정 정보 확인 

 

df  AVAIL 디스크 남은 공간 

/etc/fstab 의 6개 필드 

[파일시스템장치]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종류] [옵션][덤프] [파일점검 옵션]

마운트되는 디렉터리 마운트 포인트 

 

2과목

경량화된 가상화 기술 : 도커

구글, 컨테이너 관리 프로그램 : 쿠버네티스

오픈소스 IT 자동화 툴 : Ansible

XEN, KVN 등으로 나눠서 운영되는 가상화 환경 통합 관리 : 오픈스택

 

서버나 스토리지 같은 IT 하드웨어 자원을 빌려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 IaaS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서비스 SaaS

사용자에게 가상화된 데스크톱을 아웃소싱 형태로 전달 : DaaS

 

GENIVI : 자동차용 In Vehicle infotainment 

리눅스 복제 버전 : 록키 

사용자 중심 : arch

centOS 대체품 : alma 

 

광섬유 케이블, 토큰패싱방법을 사용하는 LAN 전송방식 : FDDI. 

게코 레이아웃 엔진 : 파이어폭스 = 모질라 파이어폭스 

 

최상위 도메인 : mil com org

53번포트 DNS

161, 162 SNMP 

 

아이 랜 IEEE LAN 

 

ss, netstat : 서버의 특정 포트에 접속해 연결된 정보 확인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RIP, OSPF, BGP 

 

Secure copy : scp

충돌탐지 CD

이더넷카드 설정 정보 출력,변경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연결 여부 확인 : ethtool

이미지 편집 변환 생성 프로그램 : GImp

윈도 배치와 표현 담당 : 윈도 매니저 

사용자 로그인 및 세션관리 역할 : 디스플레이 매니저 

 

서버 실행시 생성된 인증키 값 확인 xauth list $DISPLAY 

:1    두번째 X 윈도에 실행 됨 

그놈 데스크톱 기반의 파일 관리 시스템 : nautilus

C / 저수준 인터페이스 : Xlib 

 

시스템 시작 시 X 윈도 모드로 부팅 되도록 설정 

systemctl set-default x.target 

 

CLI 로 부팅, GUI로 부팅 


2021 - 09

 

 


2021 -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