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D. 1과목
데이터 모델링 세가지 요소
- Things(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
- Attributes(어떤 것이 가지는 성격)
- Realationships(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 간의 관계)
Mapping
- 외부적 사상
논리적 사상
- 개념적 사상
개념적 뷰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상호 관련성을 정의하는 것 , 물리적 사상
- 내부적 사상
ERD 순서
엔터티 그리기 -> 엔터티 배치 -> 엔터티간 관계 설정 -> 관계명 기술 -> 관계 참여도 기술 -> 관계 필수 여부 기술
속성값
-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값을 갖는다.
-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
-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 집합이어야 한다.
엔터티 특성 방식에 따른 속성의 분류
- 기본 속성
- 설계 속성
- 파생 속성
도메인
-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뜻한다.
- 예를 들어 고객 엔터티의 성별코드 속성은 남,여로만 존재해야한다.
관계
- 존재에 의한 관계
- 행위에 의한 관계
관계 차수 종류
- 1:1, 1:M, M:M
관계 체크 사항
: 업무기술서, 장표에 관계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동사가 있는가?
: 엔터티-엔터티 -> 연관규칙 존재 ?, 정보의 조합 발생 ?
고객 - - - 증권계좌 - - - 입금
주식별자(주번) vs 외부식별자 (고객번호)
주식별자 특성
: 유일성 ->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 내에 모든 속성들이 유일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 최소성 ->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상의 수는 최소의 수
: 불변성
: 존재성 -> 주식별자가 지정되면 반드시 데이터 값이 존재
식별자 관계 vs 비식별자 관계
인조식별자
상품명은 상품번호에만 함수종속이 된다.
상품명 속성은 복합 pk 속성 중 단 하나의 속성에만 종속되고 있다.
부분 함수 종속이 일어난 것이므로 제 2정규형 위반이다.
몇 정규형 ? 정규화 대상 ??
정규화는 상호 종속성이 강한 데이터 요소들을 분리, 독립된 개념으로 정의하게 됨에 따라
높은 응집도, 낮은 결합도 원칙에 충실해지며 이로 인해 유연성이 극대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