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리눅스마스터 2급 2023

eomsun 2023. 8. 22. 20:29

1. sticky-bit : 공유 디렉터리로 이용 중인 프로젝트에서 누구나 생성 가능하나 삭제할 때는 본인 소유 파일만 가능하도록 설정
2. 빈파일 666 -> rw rw r 664 -> 777-664 => 002 
3. 특수권한 : /usr/bin/passwd -> 계정 사용자가 패스워드 변경시 사용 프로그램 
     /etc (시스템설정), /etc/shadow(계정의 패스워드) , /etc/passwd(모든 사용자의 계정 정보)
4. ihduser@ihd ~ $ chmod g+r lin.txt 
5. xfs_quota 
    -x (전문가) -c (명령어 ->) 'limit bsoft=100m bhard~ 
6. 저장하지 않고 종료 q
7. 사용자 디스크 사용량 확인 du -sh ihduser
8. ext4인 /dev/sdb1 파티션을 /data 디렉터리로 마운트 하는 명령   : mount -t ext4 
9. 파일 점검 명령어  ext4 : fsck / xfs : xfs_repair
10. /etc/fstab 마운트 될 때 옵션 필드는 4번째임 
11. 빌조이가 개발 csh, vi
12. 로그인한 후에 이용 중인 셸 확인 : ps 
changing the login shell for root 
13. /etc/shells  :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셸정보가 기록된 파일명 
14. 사용자가 다른 셸로 변경할 때 실행하는 명령 : chsh -s /bin/csh  - u 도움말 
15. 역슬래쉬 PS2 / 연장할 때 나타나는 프롬프트 = 2차 프롬프트
16. 시스템 전체 사용자에 적용되는 alias및 함수 설정 파일 : /etc/bashrc 
17. !! : 가장 마지막에 실행한 명령어 재실행 
20.  시그널에 부여된 번호값 확인 : kill 
21. 강제종료 kill -9
22. standalone : 단독
23. 평소에 리슨하고 요청 들어오면 프로그램 실행 : i net d . conf 
24. ps :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데몬을 확인하는 명령어 
25. cron 분 시 일 월 요일
26. renice 10 1222 : 프로세스 아이디가 1222인 bash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값이 0이다. 
      NI 값을 10으로 우선순위 변경 명령어 
27. 우선순위 범위 -20 ~19 (낮을수록 우선)
28. GNU - nano
29. vim - 브람 무레나르 
30. study linux : emacs
      gedit 윈도 
31. :$ 마지막 줄로 이동 
33. 단어의 시작이 linux인 경우에만 전부 linux로 치환  :%
34. .exrc : vi 편집기에서 환경 설정한 내용을 계속해서 사용하기 위해 등록하는 파일명 .vimrc
35. 온라인 패키지 관리 도구 
36. rpm 파일을 deb 파일로 변환 패키지 관리 도구 alien
37. 데비안 리눅스에서 패키지 제거 -r  삭제
38. configure --prefix=usr.local.apche
39. xvf text.tar 압축 해제
      cvf, tvf, rvf 
40. 압축 관련 옵션  / gzip Z  / bzip -j  
41. rpm 명령 설치 관련 옵션
      U pgrade 
      i : 새로 설치 
     F : 기존에 설치된 경우에만 설치
42. 미설치된 sendmail 패키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 확인 명령 : yum info sendmail 
       설치 됨 - qi 
43. 애플 프린팅 : CUPS
44. GTK+ : XSANE 
45. 사운드 카드 제어 및 설정 시 사용 명령어 : alsactl
46. BSD : lpr 프린터 출력 
47. 사용자 LV 
 
50. X윈도는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로 되어있는데 서로간의 통신을 위해 X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아울러 X 클라이언트는 X 윈도에서 동장하는 일종의 응용 프로그램을 뜻한다.
 
53. echo $DISPLAY 
      :0 
      X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로컬 시스템의 첫 번째 X서버에 실행된다. 
 
 
etc/bashrc
       profile 
~/.bashrc
~/.bashrc_profile
 
 
xvf 압축해제 압축 풀기
cvf 압축하기 create
tvf 압축된 파일 목록table
rvf 아카이브에 파일 추가 (replace)

 
gzip -z
bzip2 -j
 
yum info sendmail : 미설치된 패키지 정보 확인 
 
GTK+ 라이브러리로 개발 : XSANE 
 
lpadmin
cancel
lpc
alsactl : 사운드카드 제어 및 설정 
 
lpr : BSD 출력
lpc

LAN용어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할당해서 생성되는 공간 : LV
PV
PE
VG
 
그놈 데스크톱환경 
그놈클래식
KDE Plasma
LXDE 
 
X 프로토콜
X 서버 
 
데스크톱 환경 : GUI 환경을 이용하기위해 ~ 인터페이스 스타일 ( 파일관리자, 아이콘, 창, 도구모음) 
 
nautilus: 그놈 파일관리자 프로그램
metacity : 윈도매니저 
mutter : 윈도매니저 
plasma : KDE 작업환경 
 

 
원격지에서 전송받은 키값을 설치하는 명령 
 
Totem
Evince
Eog
Gimp
 
Xen
KVM
Hyper-V : 가상화
VirtualBox
 
아두이노 : 마이크로 컨트롤러 HW+SW 
하둡
KVM
LXC 
 
laaS : IT 하드웨어 자원
saaS
paaS
DaaS 
 
Docker
OpenStack
Kubernetes
Ansible : 프로비저닝 구성 관리, 배포 프로그램
 
netstat 옵션문제 
 
ICANN : IP주소공간할당
IEEE 
ITU - T
ISO 
 
NFS : 리눅스 시스템 파일 공유 
NIS
SAMBA : SMB -> CIFS 
HTTP 
 
게이트웨이 : 3~7
리피터 1 
브릿지 2
라우터 3 
 
엣지
 
ifconfig
ifstat
ss  - 옵션 
route : 게이트웨이 주소 확인 명령어
 
DNS : UDP 프로토콜과 관련 있는 서비스 
TELNET
SMTP
 
이더넷 : CSMA/CD
ATM
FDDI
Tocken ring 
 
2023-03
 
ls : 특수 권한 확인 명령어
fdisk 옵션 : 삭제는 d 
 
/etc/mtab
/etc/fstab
/etc/mounts
/etc/partitions
 
bourne -> csh -> dash -> bash 
/etc/shells
/etc/passwd : 특정 사용자에게 부여된 로그인 셸 기록 
/etc/profile : 시스템 전체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환경변수 및 시작 관련 프로그램 설정시 사용 파일
~/.barshrc : alias, 함수
~/.barsh_profile 
 
PS1 $ 프롬프트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환경변수 
PS2
 
exec ps -l : 기존 프로세스 교체, 대체 
fork : 
nohup
watch
 
1 SIGHUP
2 SIGHINT ; C 

15 SIGHTERM
 
프로세스명을 인자값으로 사용 : killall , nice 
nice -10 bash
PID 를 인자값으로 사용 : kill, renice 
 
ps 명령의 프로세스 상태 코드값
S
T
X
Z : 작업이 종료되었으나 부모 프로세스로부터 회수되지 않아 메모리 차지 
 
nano 편집기 프로그램 종료 키 : ctrl + x  
 
vi 편집기 옵션 
커서를 파일에 가장 마지막  +
-c
-r
-R
 
vi - ex 모드 환경설정 
행바꿈을 하면 바로 윗줄의 시작 열과 같은 곳에서 커서를 위치 : 자동 들여쓰기 
: set ai 
 
 
dselect 메뉴 이동시 손쉽게 패키지 관리 
dnf
zypper 
 
deb : dpkg
rpm
apt 
 
의존성 관련 작업 : make -> make install
cmake : mysql
 
cvf
xvf
tvf 파일 내용 확인 
rvf 
 
yum remove nmap 

system-config-printer 

LPRng -> CUPS ( 리눅스 프린터 서버로 사용위해 설치 프로그램 ) 
lp 유닉스에서 출력 실행 
 
PV 물리적 블록
PE
VG
LV 사용자 
 
<사진문제> 
그놈 
그놈클래식
KDE plasma
LXDE 
 
XFree86
Wayland
X.org
 
Xfce : 데스크톱 환경 (e로 끝남) 
<윈도매니저> 
Afterstep 
Xfwm
Englishtenment 
 
xhost 클라이언트 IP 주소 확인 
xauth 
 
LibreOffice
ImageMagicK
Eog
Gimp :사진 편집 
 
Evince : PDF 문서 확인 
Writer
Calc
impress
 
VMware 에서 생성한 가상 머신 파일 형식 : VMDK 

허브
리피터
브릿지
게이트웨이 
 
토큰링
FDDI
X.25
Ehternet : UTP 케이블 사용, MAC 주소 기반 데이터 주고 받음 
 

 
<SSH 관련 서비스> 
scp
rsh
sftp 
 
서로 연결된 상태 
 
UDP : 세그먼트
 
< 사설 IP 주소 > 
C 클래스 사설 IP 네트워크 개수 : 256 개 
 
IRC 실시간 채팅
Usenet
NFS 
 
2020 06 오답 
1. chmod의 권한에서 실행에 대한 부분을 그룹 소유자의 권한으로 변경
chmod g+s / project 
 
2. fdisk 파티션 속성 변경시 사용하는 값 조합
Linux : 83
Swap : 82
LVM : 8e
Raid : fd
 
3. ihduser 디스크 쿼터 설정 : edquota ihduser
quota : 사용자 할당량 지정
quotaon : 실행
setquota : 터미널에서 쿼터 설정 
 
4. 디렉터리에 부여되는 w 권한
 
5. chmod o=r
other에 read 권한만 부여 하겠다.
-rwxrwxr--
 
6. ext3 부터 저널링 기술이 탑재 됨 
저널링 (복구 기능) 
 
7. mkfs : 파티션한 하드디스크 포맷 / fsck : 리눅스 파일 시스템 검사 / free : 메모리 확인 / fdisk  : 파티션 테이블 관리 
 
11. set : 셸 변수 전부 확인 (로컬 ) + 셸 환경 설정  / env : 글로벌 환경변수 조회
 
12. /sbin/nologin : 시스템 계정에서 설정되는 셸 
13. $ history 5 : 최근 실행한 마지막 5개 명령어 목록
14. sh(본셸) -> csh -> tcsh -> ksh -> bash -> zsh
16. $ !5 : 히스토리 명령 목록의 번호 중 5번에 해당하는 명령 
17. bash - 브라이언 폭스가 개발함 
 
18. PS1 프롬프트 경로 ->시간
19. top 명령 옵션 
      p : CPU 사용률 내림차순
      t : 프로세스와 CPU 항목 on/off
      k : PID 값 입력해 종료신호
      W: 바꾼 설정 저장 
 
20 . crontab파일 7개의 필드(분시일월 요일 사용자 커맨드)
주기적인 작업 용도로 사용
/var/spool/cron에 위치 
 
21. fg %2  [2] 백그라운드 작업을 fg로 옮기기 
 
22. killall은 프로세스명 
26. SIGNT : 2
SIGTERM : 15
SIGHUP : 1
SIGHKILL : 9
 
29. vi+/ihd /etc/hosts
파일을 열면서 ihd 라는 문자열이 있는 위치에 커서
 
30.  .exrc : vi 편집기의 환경설정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파일
 
31. vi -> vim -> gvim
 
32. $ 줄의 끝을 의미   ^ 줄의 시작을 의미
34. :w :w! :q! :wq 
35. help 옵션 정보
36. /bin/ls 라는 파일을 설치한 패키지 이름 알아보기
rpm -qf /bin/ls 
rpm q 패키지 설치 여부
 
37. configure (Makefile 생성) -> make -> make install 
38. 압축 풀지 않고 내용확인 ttttttttttttt 
39. 인텔계열 i386.deb
42. V : lp lpstat cancel
      BSD : lpr lprm lpc 
lpstat, lpq :  프린터 큐의 상태 출력
 
45. CUPS가 제공하는 장치 드라이버는 어도비의 PPD형식 텍스트 파일
47. xcam : GUI 기반 스캐너 도구
scandf: 여러개 사진 스캔
sane-find-scanner : SCSI 스캐너와 USB 스캐너 정보 출력 명령어
 
2과목 리눅스 활용 
 
49. 

55. /etc/inittab : 리눅스 부팅시 X 윈도를 실행하기 위해 부팅 모드를 설정 할 수 있는 파일 
init 프로세스가 읽는 파일임 
 
74. 네임서버 저장파일 /etc/resolv.con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