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시크릿 - SoulDe
우리가 원하는 긍정적인 생각과 감정들(기쁨, 행복, 부유, 건강, 기정, 감사 등)에 집중하기에는
우리는 너무도 강력하게 습관적으로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들(두려움, 불안, 근심, 걱정, 분노, 고통, 슬픔, 답답함, 우울 등)에
무의식과 현실 의식이 모두 지배받고 있다.
무엇을 할 때 행복하세요 ?
=> 무엇을 해서 행복한 게 아니라 행복해서 그 일을 하게 된 것이어야 한다.
호오(목표) 포노포노 (완벽함)
고마워, 사랑해 말의 기적 (무의식을 정화하고 현실을 바꾸는 말)
~야 고마워 , 사랑해
선콩
1. 육체
2. 사념체
3. 감정체
두려움 (동력) -> 감정 증폭 -> 긴장
동력인 부정적인 감정 에너지를 제거해라
자'신'
내심외경 : 겉으로 비치는 것들을 통해 내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다
외로움, 고통, 모멸감, 답답함, 분노 등의 감정이 압축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런 감정을 체험시킬 역할자인 상대를 끌어당김
감정들은 그 감정을 배출하고 체험할 타겟을 찾아 끌리게 만든다. 이게 카르마 프로그램의 실체이다.
그렇다면 반대가 끌리는 이유는
내가 ? 억누르고 있는 행동 ? 나의 억눌러진 감정? 과 연관이 있을까 ?
내가 타인과 맺는 관계 체험은 내가 나 자신과 맺고 있는 관계 체험의 반영일 뿐
여러분은 책을 읽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당신이 행동하는 습관, 말하는 습관, 듣는 습관, 생각하는 습관, 느끼는 습관을
바꿔야만 실제적 변화가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이 책은 자신이 원하는 상태를 창조하는 방법과 실천법에 관한 책인데요
인간은 육체, 사념체, 감정체로 이루어져 있다.
내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느냐에 온 삶이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내가 무언가를 좋아하고 잘해도 권위 있는 타인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그 일이 돈이 되지 못하면 무의미하고 무가치 했다.
내가 무엇을 하면 행복한지가 아니라 내가 무엇을 하면 남들이 나를 인정하고 행복하게 봐주고 부러워해 줄 것인지에 모든 삶이 혈안되어 있었다. 뭔가 허전하고 답답했지만 그렇게 살아야 하며 그게 행복이라고 학습되었다.
여러분만의 영혼이 가슴뛰고 충만해지는 행복의 기준이 있나요 ?
내가 억눌렀던 감정에 대해
부정 부정 부정 회피 회피 했던 것을
인정 인정 인정 직면 직면 직면 해주기